본문 바로가기

𝙳𝚒𝚐𝚒𝚝𝚒𝚘𝚗𝚊𝚛𝚢

2022년의 트렌드는?

위드 코로나 시대가 본격적으로 펼쳐질 2022년은 어떤 모습일까.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온라인으로 열린 ‘트렌드 코리아 2022’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2022년 대표 트렌드 키워드로 ‘나노사회(Nano Society)’를 꼽았다. 김 교수는 “혼자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오징어 게임’의 인기, 선거를 앞두고 나타나는 에코 체임버(비슷한 성향의 사람끼리만 소통해 자기들 이야기만 증폭되는 현상) 등이 나노사회의 증표”라며 “나노사회는 내년에 나타날 모든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의 근인(根因)”이라고 설명했다. 2007년부터 매년 이듬해 소비트렌드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는 김 교수는 나노사회와 더불어 머니러시, 득템력, 러스틱 라이프, 헬시플레저, 엑스틴 이즈 백, 바른생활 루틴이, 실재감테크, 라이크커머스, 내러티브 자본을 2022년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했다.

정리하자면 이렇다.

팬데믹과 극심한 경제불황, 취업난을 겪으며 강제로 많은 것을 포기해야 했던 세대이니만큼 쓰잘데기 없는 것 다 걷어 치우고 오로지 실용적이고 진정성 있는 것에만 가치를 두게된 것 같다.

문제는 이 아끼고 쪼개서 하는 소비조차, 선동과 날조로 이용해먹으려는 나쁜 것들이 있다는 거지.

이제는
미디어에 그들의 행태가 많이 드러나서 알만한 사람들은 다 파악했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스스로 노예되기를 자처하며 개돼지 장사꾼들에게 놀아나는 사람들이 많기에 씁쓸한 마음이 든다.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𝙳𝚒𝚐𝚒𝚝𝚒𝚘𝚗𝚊𝚛𝚢'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의 실체  (0) 2022.02.04
알이백?  (0) 2022.02.04
𝙴𝙽𝚃𝙹-𝚃  (0) 2022.01.31
타불라 라사  (0) 2022.01.30
칼리굴라 효과  (0)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