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불라 라사
타불라 라사(𝑡𝑎𝑏𝑢𝑙𝑎 𝑟𝑎𝑠𝑎)는 라틴어로 '깨끗한 석판'을 의미하며, 철학에서는 보통 영어식 번역인 '빈 서판(𝑏𝑙𝑎𝑛𝑘 𝑠𝑙𝑎𝑡𝑒)'으로 통용된다. 이 철학 이론은 태어날 때 인간의 본성은 마치 비어있는 서판과 같으며, 이후 각종 경험으로부터 서서히 마음과 지성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본성에 관한 백지설, 성무선악설과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다.
굳이 타불라 라사의 근원을 소급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근대의 경험론자인 존 로크의 사상에서 유래한다고 본다. 로크는 그의 저작 '인간 지성론(𝐸𝑠𝑠𝑎𝑦 𝐶𝑜𝑛𝑐𝑒𝑟𝑛𝑖𝑛𝑔 𝐻𝑢𝑚𝑎𝑛 𝑈𝑛𝑑𝑒𝑟𝑠𝑡𝑎𝑛𝑑𝑖𝑛𝑔)'에서 '백지(𝑤ℎ𝑖𝑡𝑒 𝑝𝑎𝑝𝑒𝑟)'라는 개념을 도입하면서 '인간은 정보를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로 태어나며, 정보를 처리할 능력은 오직 감각적 경험으로 인해서 후천적으로 형성된다'라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가정은 로크의 경험론에서 핵심 근거가 되었으며, 또한 그가 주장한 자연권 사상의 근간이 되었다.
이후 타불라 라사는 경험론자뿐만 아니라 다른 낭만주의 시대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장 자크 루소는 타불라 라사가 내재된 인간의 형태를 고상한 야만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마누엘 칸트의 경우 '순수 이성 비판(𝐾𝑟𝑖𝑡𝑖𝑘 𝑑𝑒𝑟 𝑟𝑒𝑖𝑛𝑒𝑛 𝑉𝑒𝑟𝑛𝑢𝑛𝑓𝑡)'에서 경험론을 반박하여 인간의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순수 이성의 존재를 역설하였지만, 후천적 경험을 처리하게 해주는 순수 이성은 모든 인간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으며, 결국 사람들간의 차이는 후천적 경험으로 인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사람들의 행동 방식의 대부분은 후천적으로 어떤 환경에 노출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라는 사상은 현대 사회진보세력들의 교육론과 인간론에서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이 남성의 비율보다 적은 것은 사회에서 여자와 남자의 일을 규정했기 때문이고, 따라서 완전한 남녀평등이 일어난다면 남성 공학자 수와 여성 공학자 수가 동일해질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다만 현대인의 입장에서 볼 때는 타불라 라사가 진화론의 자연선택설, 유전학, 신경생물학과 같은 현대 생물학이 탄생하기 전에 나온 이론이라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과학적 관찰과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지적 능력에서 상당한 부분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이미 태어날 때부터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다른 가정에 입양된 일란성 쌍둥이를 추적한 결과, 성인이 된 이후에 측정한 지능에서 선천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후천적 환경 요인보다 7:3 또는 8:2로 더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지능 발달에서 선천적/유전적 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결론은 그 동안 많은 교육학, 사회학, 인문학 분야의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반박되어서, '지능 발달에서 후천적 환경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선천적 요인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크다'고 결론을 내린 연구의 수는 엄청나게 많다. 사실 90년대 이전까지만해도 학계에서 환경 결정론이 우세했으며, 유전자 결정론을 뒷받침하는 결정적 증거들은 1990년 이후부터 꾸준히 나오기 시작했다. 물론 환경 결정론자들도 여전히 엄청난 수의 논문을 쏟아내고 있다. 결국 실험 설계와 데이터 분석 면에서는 유전자 결정론이 더 과학적이고 정교한 반면에, 환경 결정론 측의 연구가 수적으로 압도적인 상황이다. 그래서 현재는 대체로 양자를 절충해서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모두 중요하며, 선천적 요인이 후천적 요인에 비해 6:4 정도로 근소하게 앞선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후천적 경험이 인간의 지적 세계에 끼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빈 서판: 인간은 본성을 타고나는가
𝑻𝒉𝒆 𝑩𝒍𝒂𝒏𝒌 𝑺𝒍𝒂𝒕𝒆:𝑻𝒉𝒆 𝑴𝒐𝒅𝒆𝒓𝒏 𝑫𝒆𝒏𝒊𝒂𝒍 𝒐𝒇 𝑯𝒖𝒎𝒂𝒏 𝑵𝒂𝒕𝒖𝒓𝒆
인지심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스티븐 핑커의 책으로 상술한 "빈 서판"(𝑡𝑎𝑏𝑢𝑙𝑎 𝑟𝑎𝑠𝑎) 가설을 반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03년에 퓰리처 상 최종 후보까지 올라갔다. 이 책에서 핑커는 경험주의자들의 빈 서판 이론과 이와 연결된 두 가지 도그마(데카르트의 기계 안의 영혼, 루소의 고상한 야만인)를 비판한다. 현대 생물학과 실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지적 능력의 차이 뿐만 아니라 성격의 차이까지 상당 부분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이며, 환경적 영향은 사람들의 생각하는 것보다 적게 작용한다. 즉 인간은 자연이 우리에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허락한 범위 안에서만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러한 결정론을 받아들이는 것을 두려워하고 의도적으로 외면한다. 또한 폭력성은 인간의 본성에 숨겨져 있지만, 많은 지식인들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무시하고 있다. 또한 핑커는 빈 서판 이론에 논리적 결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이론이 사회 도덕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서 살인이 폭력적인 본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교육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면 '교육받지 않음'이라는 이유로 죄가 부모를 비롯한 사회에게 돌려져서 형벌을 피하게 되고, 이렇게 풀려난 사이코패스들은 더 많은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마음이 환경으로부터 형성된다는 가설은 인간의 모든 면을 통제하려는 전체주의적인 교육을 불러올 수 있으며, 집과 같은 모든 환경을 천편일률적으로 똑같이 만드려는 시도를 낳게 되고, 단순히 남보다 더 많이 가졌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는 사회를 만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