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의달인

(81)
“돌직구(ド直球)”를 영어로? “돌직구(ド直球)”를 영어로? ‘돌직구(ド直球)’는 어떤 상황에서 간접적이거나 에둘러 말하지 않고, 직설적이고 단도직입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본래 야구에서 투수가 빠르고 직선으로 뻗어가는 공을 던지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상에서는 상대에게 숨김없이 솔직한 말을 할 때 사용된다. 영어로 표현하면, “Blunt Comment” 또는 “Straightforward Comment”라고 할 수 있다.  “Blunt Comment” “Blunt”는 ‘직설적이다’ 또는 ‘솔직하다’는 의미를 가지며, 상대방의 감정이나 반응을 고려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lunt Comment”는 상대방의 감정을 배려하지 않은 직설적인 말을 뜻한다.   “Straight..
“사재기”를 영어로? “사재기”를 영어로? ‘사재기’는 특정 물품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구매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특히 자주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물품의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유발하기도 한다. 영어로 표현하면, “Panic Buying”이라고 할 수 있다.  “Panic Buying” “Panic Buying”은 공포심이나 불안감 때문에 사람들이 급하게 물품을 사들이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자연재해, 전쟁, 경제 불황 등 위기 상황에서 흔히 사용되며, 개인이 물건을 미리 확보하려는 심리적 반응을 잘 나타낸다. “People started panic buying toilet paper when the pandemic hit.” (팬데믹이 발생하자 사람들은 화장지를..
“Cost an arm and a leg”가 무슨 뜻? “Cost an arm and a leg”가 무슨 뜻? ‘Cost an arm and a leg’는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가 매우 비싸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다. 이 표현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큰 희생이나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는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다. 이 표현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18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사람들은 이 표현이 전쟁에서 팔다리를 잃는 희생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도 한다. 비싼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큰 대가를 치르는 것을 과장하여 ‘팔과 다리를 잃다’라고 표현한 것이다.  “Cost an arm and a leg” 이 표현에서 ‘arm and a leg’는 비유적으로 ‘많은 돈’ 또는 ‘큰 희생’을 의미한다. 따라서, ‘cost an arm..
“Jump on the bandwagon”이 무슨 뜻? “Jump on the bandwagon”이 무슨 뜻? ‘Jump on the bandwagon’은 어떤 유행이나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이미 인기를 끌고 있는 대세에 뒤늦게 합류하거나,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에 동참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 표현의 유래는 19세기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정치인들은 선거운동을 할 때, 밴드가 연주하는 마차인 ‘bandwagon’을 사용해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사람들은 이 밴드마차에 올라타면 승리하는 쪽에 서게 될 것이라는 믿음에서 ‘jump on the bandwagon’이라는 표현이 생겨났다. 이후 이 표현은 유행이나 인기 있는 대세를 따라가는 행위를 의미하게 되었다.  “Jump on the bandwagon” “Ban..
“눈팅”을 영어로? “눈팅”을 영어로? ‘눈팅’은 인터넷 커뮤니티나 소셜 미디어에서 활동을 하지 않고, 그저 글이나 댓글을 읽기만 하는 행위를 뜻하는 말이다. '눈'과 '채팅'의 합성어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조용히 지켜보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영어로 표현하면, “Lurking”이라고 할 수 있다.  “Lurking” “Lurking”은 온라인 환경에서 특정 게시물이나 대화를 지켜보기만 하고, 댓글을 달거나 게시물을 작성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행동을 뜻한다. 눈팅 하는 사람을 lurker라고 하는데, lurk은 (불쾌하거나, 위험한 일이) 도사리고 있다는 뜻이다. 즉, 숨어서 뭔가 나쁜 꿍꿍이를 꾸미는 것을 뜻하는 표현이다. 민속놀이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럴커를 떠올리면 단번에 이해가 갈 것이다. 이렇듯 ..
“감칠맛”을 영어로? “감칠맛”을 영어로? ‘감칠맛’은 음식에서 느껴지는 독특한 풍미로, 단맛, 짠맛, 신맛, 쓴맛과는 다른, 깊고 풍부한 맛을 의미한다. 이 맛은 특히 육류, 해산물, 숙성된 치즈, 토마토, 된장 등에서 두드러지게 느낄 수 있다. 영어로 표현하면, “Umami”라고 할 수 있다.  “Umami” “Umami”라는 단어는 일본어에서 유래했으며, 영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된다. 감칠맛은 다른 기본 맛들과는 구별되는 다섯 번째 기본 맛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감칠맛’이라는 개념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간혹 ‘감칠맛’을 “Savory Taste”라고 표현하는 글을 보게 되는데, 이렇게 표현할 경우 ‘고소한 맛’에 한정되므로 ‘감칠맛’의 넓은 스펙트럼을 표현하기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낳괴”를 영어로? “자낳괴”를 영어로? ‘자낳괴’는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의 줄임말로, 돈을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 말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질적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 기준을 무시하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을 비꼬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영어로 표현하면, “Sellout” 또는 “Money-Driven Monster”라고 할 수 있다.  “Sellout” “Sellout”은 자신이 원래 지녔던 신념이나 가치를 버리고, 오로지 금전적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이라는 의미를 잘 전달하면서도, 그 부정적인 뉘앙스를 그대로 담고 있다.  “Money-Driven Monster” “Money-Driven Mons..
“영알못”을 영어로? “영알못”을 영어로? ‘영알못’은 ‘영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의 줄임말로, 영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영어 실력이 부족한 사람을 뜻한다. 이 표현은 일종의 신조어로,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알못’에 ‘영어’를 합쳐 만든 말이다. 영어로 표현하면, “English Illiterate”라고 할 수 있다.  “English Illiterate” “Illiterate”라는 단어는 글을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사람을 의미하지만, 비유적으로 어떤 분야에 무지한 사람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따라서 “English Illiterate”라는 표현은 영어를 잘 모르거나 영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을 의미한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영알못’이라는 개념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He’s prac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