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의 장인 (296) 썸네일형 리스트형 “YONO족이 무슨 뜻?” “YONO족이 무슨 뜻?” ‘요노족(YONO族)’은 ‘필요한 것은 하나뿐(You Only Need One)’이라는 개념을 따르는 소비자를 가리킨다. 이들은 필수적인 물건만을 구매하며, 불필요한 소비를 최대한 줄이는 방식으로 생활한다. 이는 자신의 행복을 위해 과감한 소비를 즐기는 ‘욜로족(YOLO; You Only Live Once 인생은 한 번뿐)’과 대조적이다. 영어로 표현하면, “YONO”라고 그대로 쓸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표현으로는 “minimalist consumer”를 사용할 수 있다. “YONO” “YONO”라는 표현은 ‘You Only Need One’의 약자로, 필수적인 것만을 구매하고 과잉 소비를 피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최근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러한 소비 방식이.. “쫄깃하다를 영어로?” “쫄깃하다를 영어로?” “쫄깃하다”는 음식을 씹을 때 느껴지는 탄력 있는 식감을 표현하는 한국어 단어이다. 이 표현은 특히 떡, 오징어, 해산물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영어로는 “chewy”가 이와 가장 가까운 표현이다. “Chewy” “Chewy”라는 단어는 씹을 때 탄력이 느껴지는 음식의 질감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쫄깃하다”와 비슷하게, 쉽게 씹히지 않고 오랫동안 씹히는 느낌을 묘사할 때 쓰인다. 이 표현은 특히 한국 음식에서 흔히 발견되는 독특한 식감을 잘 전달한다. “The rice cake is so chewy, it’s hard to stop eating.” (이 떡은 너무 쫄깃해서 멈출 수가 없네.)“I love how chewy the octopus is in this dish.” (이.. “Fat chance? 뚱뚱한 기회?” “Fat chance? 뚱뚱한 기회?” “Fat chance”는 직역하면 “뚱뚱한 기회”로 보이지만, 실제 의미는 그 반대이다. 이 표현은 ‘어림도 없다’ 또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를 뜻하며, 상황이 매우 비관적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가능성이 희박한” “Fat chance”는 역설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fat’이 보통 큰 것을 나타내지만, 이 문맥에서는 비꼬는 의미로 사용되어 ‘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slim chance”가 있으며, 이는 말 그대로 희박한 가능성을 뜻한다. 둘 다 같은 의미로 쓰이지만, “fat chance”는 반어적으로 표현된 점이 흥미롭다. “Fat chance of that. 어림 없지.” “Fat chance”는 비꼬는 듯.. “텃세를 영어로?” “텃세를 영어로?” “텃세”란 기존에 있던 사람들이 신참이나 새로운 사람에게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압박을 가하거나 괴롭히는 행동을 의미한다. 특히 새로 들어온 사람에게 불합리한 요구나 괴롭힘을 하는 경우를 가리킬 때 자주 쓰인다.영어로 표현하면 “hazing” 또는 “haze someone”이라고 할 수 있다. “Hazing” “Hazing”이라는 단어는 신입생이나 신참에게 굴욕을 주거나 괴롭히는 행위를 의미한다. 주로 군대, 학교, 스포츠 팀, 클럽 등에서 신참을 대상으로 한 괴롭힘을 지칭한다. 따라서 고인물들이 신참에게 텃세를 부리는 상황에서 적합한 표현이다. “The seniors always haze the freshmen during initiation week.” (선배들은 신입생 환.. “혼코노”를 영어로? “혼코노”를 영어로? ‘혼코노’는 혼자서 코인 노래방에서 노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Singing alone in a coin karaoke” “Sing alone”은 혼자서 노래하는 것을 의미하며, “in a karaoke”는 노래방에서 이 활동을 한다는 뜻이다. 혼자서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I spent the afternoon singing alone in a coin karaoke to unwind.” (저는 오후를 혼자 코인 노래방에서 노래하며 기분 전환을 했어요.)“She enjoys singing alone in a coin karaoke when she needs some alone time.” (그녀는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할 때 혼자 코인 노래방.. “Barking up the wrong tree? 헛다리 짚다” “Barking up the wrong tree”가 무슨 뜻? ‘Barking up the wrong tree’는 어떤 문제나 상황에 대해 잘못된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잘못된 대상을 비난하거나 추궁하는 것을 뜻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사냥을 하던 개가 나무 아래에서 사냥감을 쫓고 있을 때, 실제 사냥감이 나무 위에 있거나 다른 나무에 있을 때 사용되었다. 개가 잘못된 나무를 향해 짖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헛다리 짚다” ‘Barking up the wrong tree’는 비유적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거나 잘못된 대상을 지적할 때 사용된다.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노력을 하거나 잘못된 방법을 사용할 때 이 표현을 쓴다. “If you think I’m the one w.. “Throw under the bus”가 무슨 뜻? “Throw someone under the bus”가 무슨 뜻? ‘Throw under the bus’는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다, 특히 문제나 비난을 떠넘기다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주로 개인이 자신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릴 때 사용된다. “Throw someone under the bus” 이 표현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20세기 후반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Under the bus’라는 표현은 비유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만들거나, 누군가를 배신하여 곤경에 처하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표현은 차량에 치이는 것처럼, 타인을 위험에 빠뜨린다는 이미지를 상기시킨다. ‘Throw under the bus’는 주로 비즈니스나 정치적 상황에서 사용된다. 개인이 자신의 실수나 실패.. “In hot water”가 무슨 뜻? “In hot water”가 무슨 뜻? ‘In hot water’는 곤경에 처하다, 어려운 상황에 빠지다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주로 문제나 논란에 휘말려 곤란한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In hot water” 이 표현의 유래는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원래는 물리적인 의미로 뜨거운 물에 처해 있는 상황을 가리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유적인 의미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설명하는 표현으로 변화되었다. 뜨거운 물에 있는 것이 불편하고 위험한 것처럼, 어려운 상황도 불편하고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유래되었다. ‘In hot water’는 문제나 곤란한 상황에 처한 상태를 묘사하는데 적합하다. 이 표현은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실제로 물리적인 열이 아닌, 심리적 또는 사회적 압박..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