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𝙻𝚊𝚗𝚐𝚞𝚎

(586)
“해장국을 영어로?” “해장국을 영어로?” ‘해장국(解酲–)’은 ‘술기운을 푼다’는 뜻에서 유래한 한국 전통 음식이다. 보통 전날 과음한 뒤 속을 달래기 위해 먹는 국물 요리로, 선지해장국, 콩나물해장국, 우거지해장국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영어로 표현할 때는 “hangover soup”, “spicy Korean comfort soup”, 또는 그대로 **“Haejang-guk”**이라고 하면서 설명을 붙이는 방식이 있다. “Hangover Soup” 한국어를 직역한 표현이다. 숙취(hangover)를 위한 국물(soup)이라는 의미가 명확해 외국인도 이해는 쉬우나, 미국 현지인 입장에서는 어색한 직역체로 들릴 수 있다.따라서 일상적인 대화나 광고 문구에서는 좀 더 자연스럽게 바꿔 표현하는 것이 좋다. “Spicy..
“겉바속촉을 영어로?” “겉바속촉을 영어로?” ‘겉바속촉’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다는 의미로, 주로 음식의 이상적인 식감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튀김류나 군만두, 치킨처럼 겉면은 바삭하게 튀겨졌지만 속은 육즙이 살아 있는 음식을 일컫는다. 영어로는 “crispy on the outside, juicy on the inside” 혹은 짧게 “crispy outside, juicy inside” 라고 표현한다. 미국 현지에서도 음식 리뷰나 광고 문구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Crispy Outside, Juicy Inside” 이 표현은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언어로 구성되어 있어, 단어 하나하나가 맛과 질감을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crispy’는 바삭거리는 질감을, ‘juicy’는 수분감 있는 속살이나 육즙을 의..
“영끌”을 영어로? “영끌”을 영어로? ‘영끌’은 ‘영혼까지 끌어모은다’의 줄임말로, 자신의 모든 자산은 물론 미래의 재정 여력까지 총동원해 투자나 소비에 몰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영어권에는 이를 직역한 표현은 없지만, 비슷한 심리와 재정적 행동을 설명하는 몇 가지 표현이 존재한다. “YOLO investing” YOLO는 “You Only Live Once(인생은 한 번뿐)”의 약자로, 무모할 정도로 과감한 선택을 정당화할 때 자주 쓰인다.‘YOLO investing’은 팬데믹 시기 로빈후드(Robinhood) 앱을 통해 개미 투자자들이 GameStop, AMC, 암호화폐 등에 전 재산을 올인하던 현상을 설명할 때 많이 쓰였다. 예시:“He YOLO’d his life savings into GameStop stoc..
“거북목”을 영어로? “거북목”을 영어로? ‘거북목’은 목이 거북이처럼 앞으로 빠져나온 자세를 뜻하는 말이다. 주로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생기며, 경추에 부담을 주고 몸 전체의 자세를 무너뜨리는 원인이 된다. 영어로 표현하면, “Text Neck” 또는 “Forward Head Posture”라고 할 수 있다. “Text Neck” “Text Neck”은 스마트폰(텍스트)을 보느라 고개를 앞으로 빼는 습관 때문에 생긴 거북목 증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신조어이다. “Text”는 문자 메시지나 스마트폰 사용을 가리키고, “Neck”은 목을 의미한다. 따라서 “Text Neck”은 문자나 스마트폰 사용 때문에 생긴 목의 변형을 의미한다. “Forward Head Posture” “Forward H..
“On n'est pas des pigeons”가 무슨 뜻? “On n'est pas des pigeons”가 무슨 뜻? “On n'est pas des pigeons”는 프랑스어로 “우리는 호구가 아니다”라는 뜻이다. 직역하면 “우리는 비둘기가 아니다”이지만, 여기서 “pigeon”은 단순한 새가 아니라 속는 사람, 봉, 호갱을 가리키는 프랑스어 속어다. 이 표현은 20세기 초부터 프랑스어권에서 순진해서 쉽게 속는 사람을 “pigeon(비둘기)”에 비유하며 생겨났다. 특히 도박, 사기, 상술의 피해자를 지칭할 때 흔히 쓰였다. “호구 잡았다”는 말이 프랑스어에서는 “faire un pigeon” 또는 “plumer un pigeon(비둘기 털 뽑기)”처럼 표현된다. “On n'est pas des pigeons”는 이러한 맥락에서 소비자 권익 보호의 상징적..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가 무슨 뜻?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가 무슨 뜻?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는 어떤 말을 전적으로 믿지 않고, 약간 의심하면서 듣는다는 뜻이다. 상대방의 말이나 정보가 과장되었거나 완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의 어원 이 표현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라는 학자가 쓴 라틴어 문서에서 "cum grano salis"라는 문구가 처음 등장했는데, 여기서 "소금 한 알과 함께" 해석하듯, 위험하거나 의심스러운 것을 소금과 함께 삼키면 덜 해롭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후 현대 영어로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가 무슨 뜻?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가 무슨 뜻?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는 인간과 매우 비슷한 형태를 가진 로봇, 인형, 가상 캐릭터 등이 특정 점에서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유발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기술적으로 인간과 비슷하게 생긴 존재가 인간과 거의 똑같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로 인해 기묘하거나 불안한 느낌을 주는 상황을 설명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ciGIeT7k0A 로봇이 인간을 어설프게 닮을수록 오히려 불쾌함이 증가한다는 일본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森政弘)의 주장. 프로이트의 '이질적인 불편함'에 가까운 심리학 용어로 사용하였다. ‘불쾌한 골짜기’라는 용어는 일본의 로봇학자 모로(森昌弘)가 1..
“스윗영포티”를 영어로? “스윗영포티”를 영어로? ‘스윗영포티’는 나이가 많고 대개 유부남인 중년 남성이 나이 어린 여성들에게 추근대며 아첨하거나 관심을 보이는 행동을 비꼬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주로 40대 이상의 나이든 남성들이 10대나 20대 여성들에게 지나치게 친근하게 다가가거나 불쾌한 방식으로 관심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https://youtu.be/G0ikTlo4Cl8?si=CqsEBxdeoCTRCxn4 영어로 표현하면 “Creepy old man”으로 번역할 수 있다. “Creepy”는 사람을 불안하게 만들거나 불쾌감을 주는 상황을 묘사하는 단어로, 나이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남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https://www.news1.kr/society/general-society/571686..